궁구매의 경제25 보이지 않는 손 여러분,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혹시 처음 듣는다면 "손이 보이지 않으면 투명인간인가?" 하고 웃으며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사실 이 표현은 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경제학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이 '보이지 않는 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번 시간에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이라는 개념은 '영국의 정치경제학자 애덤 스미스(Adam Smith)'가 그의 대표적인 저서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에서 처음으로 소개한 개념입니다. 애덤 스미스는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인물이며, 그의 사상은 오늘날의 자유 시장 경제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2025. 2. 7. 경제학과 주식 오늘은 약간은 경제학과 직접적으로는 연관은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주제를 가져왔습니다. 바로 경제학과 주식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제가 경제학을 전공했다고 말하면 많은 사람들이 "그럼 주식 잘하시겠네요?" 혹은 "경제학 배웠으면 주식 투자로 돈 많이 벌 수 있겠네요?"라는 질문을 하곤 합니다. 물론 경제학을 공부하면 거시경제의 흐름, 금융 시장의 기본 원리, 그리고 기업의 재무구조 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경제신문을 읽을 때도 기사에 담긴 의미를 더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글로벌 경제 흐름과 시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께 꼭 말씀드리고 싶은 사실이 있습니다. 경제학 = 주식 투자 성공이라는 공식은 절대 성립하.. 2025. 2. 7. 골디락스 경제 여러분이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곳, 즉 ‘유토피아’는 어떤 모습인가요?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놀고 먹기만 해도 걱정이 없는 세상, 혹은 모든 것이 내 뜻대로 이루어지는 세상을 떠올릴 것입니다. 하지만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유토피아를 조금 더 현실적인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경제학이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세상은 바로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상태를 의미하는데요.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도 과도한 호황이나 극심한 불황이 아닌, 적절한 성장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경제 상황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여겨집니다. ‘골디락스(Goldilocks)’라는 이름은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Goldilocks and .. 2025. 2. 7. 경제학의 탄력성 탄력성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탄력 있는 피부나 고무줄처럼 잘 늘어나는 물체를 떠올릴 것입니다. 실제로 이러한 개념은 경제학에서 사용하는 탄력성과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경제학에서 탄력성은 한 변수가 변할 때 다른 변수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시장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하나의 변수 변화가 다른 변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경제학적 탄력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경제학에서 탄력성(彈力性, Elasticity)이란 한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즉, 어떤 요소가 변할 때 그것이 수요.. 2025. 2. 6. 정상재와 열등재 여러분은 어떤 재화의 가격이 내려가면 그것을 더 많이 구매하시나요, 아니면 더 적게 구매하시나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격이 내려가면 더 많이 구매할 것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정상재를 떠올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만약 그 재화가 열등재라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상재와 열등재가 무엇인지 궁금하신가요? 그렇다면 이번 글을 집중해서 읽어보세요. 정상재(正常財, Normal Goods)란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가 증가하고, 소득이 감소하면 수요가 줄어드는 재화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사람들이 돈을 더 많이 벌게 되면 자연스럽게 더 많이 구매하는 재화가 정상재입니다. 정상재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길수록 소비가 늘어나는 성향을 가지므로, 우리가 흔히 선호하는 대부분의 .. 2025. 2. 5. 죄수의 딜레마 안녕하세요. 최근 경제학에서 균형이라는 주제를 다루면서 문득 떠오른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죄수의 딜레마인데요. 죄수의 딜레마는 시장에서 균형이 존재하는 경제학과는 달리, 참가자들이 최선의 선택을 하더라도 최적의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게임이론에 대해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게임이론(Game Theory)은 상호 의존적인 상황에서 이성적인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수학적 이론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게임과 마찬가지로, 게임이론에서는 각 참여자의 선택이 다른 참여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황을 연구합니다. 개인이나 기업이 특정한 선택을 했을 때, 그 결과가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선택에 의해서도 결정.. 2025. 2. 5. 이전 1 2 3 4 5 다음